咳嗽之含義
조국의학(중의학)은 역사가 매우 긴데 黃帝의 이름을 빌려 지어진 <內經>은 비록 대략 周代부터 내려온 것으로 그 내용은 上古의 口傳되어 心授된 바가 많이 누적되어 더욱 진귀하다고 할 수 있다. 그중 <素問> 咳論 一篇은 咳嗽 一症에 대해 비교적 계통적으로 논술하고 있는데 비록 咳자 뒤에 嗽자가 붙어있지는 않으나 陰陽應象大論, 五臟生成篇, 診要經終篇, 示從容篇에 모두 咳嗽라고 붙여 적혀 있다. 또한 周公이 지었다는 <周禮>를 보면 그 天官疾醫 條 아래에 “冬時有嗽上氣疾”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니 족히 咳와 嗽는 예부터 따로 쓰이기도 하고 붙여 쓰이기도 해서 그 사용이 비록 단음과 쌍음의 차이가 있지만 그 뜻은 사실상 어떠한 구별이 있는지는 나타나 있지 않았다. 漢 張仲景의 <傷寒論>에는 또한 咳를 제시하고 嗽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金匱要略>에서 “肺痿肺癰咳嗽上氣” 및 “痰飮咳嗽” 두 개의 장에서는 咳嗽를 아울러 제시하였다. 魏晋六朝, 隋, 唐, 五大부터 兩宋까지의 諸家들이 咳嗽를 논한 것을 보면 또한 자세히 분별해 놓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金나라 劉完素의 <咳嗽論>에 이르러 비로소 다음과 같이 언급되었다.: “咳爲無痰而有聲, 肺氣上而不淸也; 嗽是無聲而有痰, 脾濕動而爲痰也; 咳嗽爲有痰而有聲, 盖人傷于肺氣, 動于脾濕, 咳而且嗽也.” 그 후 元의 張潔古의 <活法機要> 및 明이후 여러 醫家들 대다수가 여기에 근거하였다. 오직 何伯齊만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機要>所論 咳嗽二證, 盖倒說也. 肺爲氣主而聲出焉, 肺傷寒飮, 鬱而爲痰, 聲欲上出, 爲痰所隔, 故相攻而作聲, 痰出聲乃通利, 斯謂之咳. 外感風寒, 肺管爲寒氣所束, 聲出不利, 故亦相攻作聲, 然無物也, 斯謂之嗽.” 이는 有聲而有痰을 咳라 하고 嗽는 有聲而無痰이라 한 것으로 劉完素의 說과 완전 반대이다. 趙獻可의 <醫貫>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咳謂無痰而有聲, 嗽是有痰而有聲, 雖分六腑五臟之殊, 而其要皆主于肺, 盖肺爲淸虛之府, 一物不容, 毫毛必咳.” 이를 보면 咳에 대해서는 劉氏와 같은 견해이고 嗽에 대해서는 三氏의 說이 각각 다르니 요점은 聲痰有無의 辨과 主脾, 主肺의 別에 있는 것이다. 淸의 沈金鰲가 쓴 <雜病源流犀燭>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有聲無痰曰咳, 非無痰, 痰不易出也, 病在肺, 肺主聲, 故聲先而痰後; 有痰無聲曰嗽, 非無聲, 痰隨聲出, 聲不甚響也, 病在脾, 脾藏痰, 故痰出而嗽止.” 이는 咳嗽가 모두 有聲有痰한 것으로 咳는 痰이 쉽게 못나오는 것이고 嗽는 聲이 울리는 것이 심하지 않는 것으로 모두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확실한 구분이 있는 것이 아님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劉完素가 咳嗽를 나누어 논한지 오래지 않아 張子和는 <儒門事親>에 곧 말하기를: “嗽與咳一證也, 後人或以嗽爲陽, 咳爲陰, 亦無考据........<素問> 惟以四處連言咳嗽, 其餘篇中只言咳不言嗽, 乃知咳嗽一證也.”라 했다. 驗說들을 종합해 보면 咳嗽는 단지 有聲有痰으로 咳와 嗽를 따로 말하건 합하여 말하건 그 뜻을 구별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 無痰之咳嗽는 마땅히 乾咳嗽라고 칭함에 불과한 것으로 다른 뜻으로 해석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諸家의 聲痰有無나 主肺主脾의 상세한 분석을 통하여 咳嗽의 含義는 이미 더욱 분명해졌고 辨證論治에 있어 실제로 상당한 도움이 되었으니 먼저 이를 마땅히 명확하게 해야 한다.
唐步祺 著 咳嗽之辨證論治 2005 四川出版集團 巴蜀書社 pp1-3 번역 : 최준용